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토파밍 어법 1탄] 노베이스 관계사 완전 정복: that, what, which 차이, 예문까지 완벽 정리!

by 골든데이즈 2025. 4. 7.

“분명 아는 개념인데, 어디가 틀렸는지 모르겠어요…”

수능 영어 어법 문제를 풀다 보면 이런 생각이 자주 들죠?

지식인에 질문하고 게시판에 글 올리고 하시죠?

개념은 외웠는데 막상 문장을 보면 헷갈리고,

문장이 길어질수록 감으로 찍게 되는 상황! 

도대체 왜 이러는 걸까요?

 

토파밍 어법 시리즈 1탄 : 관계사 완전 정복

 

[토파밍 어법 시리즈]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가진 학생들을 위해 정리했어요!

 

📌 이런 학생이라면 꼭 보세요!

  • 문법 개념은 외웠지만 문제 풀이에 약한 학생
  • 긴 문장에서 구조 분석이 어려운 학생
  • 관계사, 접속사 개념이 자꾸 헷갈리는 학생
  • 반복해서 같은 문제를 틀리는 학생
  • 서술형 문제에서 설명을 못 하는 학생

어법 문제로 고민하는 학생

🙋‍♀️ 출제율 No.1 관계사와 명사절 접속사

대망의 수능과 모의고사의 출제 넘버원은 바로! 관계사와 명사절 접속사입니다.

정말 고1~고3까지 두루두루 굉장히 많이 출제 됩니다.

정답으로도 많이 출제되고, 보기로도 많이 출제됩니다!

제가 중등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법 중 하나는 바로 관계사입니다.

관계사로 꾸며주는 문장이 생기고, 그러면 문장이 길어지고,

길어지니 문장의 주인공(주어, 동사, 보어, 목적어)를 찾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관계사 하나만 제대로 알아도! 문장 분석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관계대명사는 중학교 2학년 커리큘럼에, 관계부사는 중학교 3학년 때 배웁니다.

관계대명사는 접속사와 대명사 역할을 하면서 앞에 있는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 역할을,

관계부사는 접속사와 부사 역할을 하면서 앞에 있는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 역할을 한다고 배웠습니다!

중등 떄 각각의 개념과 쓰임을 배우고, 고등 때는 문장 속에서 잘 쓰였는지 어법 판단 문제로 주로 마주칩니다.

그 때 중요한것은 뭐다?

 

바로 다음 3가지입니다!

문장에서, 문제 풀 때 반드시 이 3가지를 적용해보세요.

꾸준히 연습하다보면 완전히 이해하게 됩니다!

 

📚 핵심 개념 요약

  • 관계대명사 뒤에는 불완전한 문장
  • 관계부사 뒤에는 완전한 문장
  • 명사절 접속사 that 뒤에도 완전한 문장

먼저 관계대명사 구조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이 구조만 제대로 알고 있어도 관계대명사 격은 한 방에 정리됩니다.

 

1️⃣ 관계대명사 구조 총정리

관계대명사 구조 총 정리

  • 주격: The boy who is running is my friend. -> 선행사 + 주관대 + 동사
  • 목적격: The book that I bought is interesting. -> 선행사 + 목관대 + 주어 + 동사
  • 소유격: The man whose car is red is my uncle. -> 선행사 + 소관대 + 명사 + 동사

그럼 이제부터 문제에서 어떻게 출제 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2️⃣관계대명사 that vs what

관계대명사 what과 that 구별하는 방법

 

✔ 밑줄 앞의 선행사 유무 확인!

 

선행사 O → 관계대명사 that
선행사 X → 관계대명사 what

 

❇️ Exercise

  • This is very common human tendency what is rooted in how our species developed. [2022_3월_고1]

-> 위 문장에서 what은 틀렸습니다! 왜냐하면 앞에 선행사 tendency(경향)이 있기 때문!

-> 따라서 which 또는 that으로 바꿔야 합니다.

  • Gundry lists a wide range of other health problems including aching joints, dementia, headaches and infertility that have been resolved in his patients once the eliminated lectins from their diets.[2023_11월_고2]

-> 위 문장에서 that은 잘 쓰였습니다! 앞에 선행사 health problems를 꾸며주고 있는 주격관계대명사입니다! including부터 infertility(불임)까지는 전치사구로 앞의 health probelms에 대한 예시입니다. 이렇게 관계대명사가 꾸며주는 선행사의 거리가 떨어져 있을 경우도 있으니 문장 구조 분석을 열심히 하는 것을 강추합니다!!

 

3️⃣명사절 접속사 that vs 관계대명사 that

명사절 접속사와 관계대명사 that 구별

 

밑줄 뒤 문장이 완전한지 확인!


✅ 완전 → 명사절 접속사 that
✅ 불완전 → 관계대명사 that

 

❇️  Exercise

  • The most noticeable human characteristic projected onto animals is that they can talk in human language.[2023_3월_고1]

-> 위의 문장에서 that은 명사절 접속사입니다. be동사 뒤에 와서 보어 역할을 하고 있고 that절은 주어 they와 1형식 동사 talk로 이루어져있습니다. 1형식으로 완전한 문장이 왔기 때문에 명사절 접속사가 맞습니다.

  • It would be hard to overstate how important meaningful work is to human beings - work that provides a sense of fulfillment and empowerment. [2024_3월_고1]

-> that 앞의 work는 meaningful work의 work입니다. 동사가 아니라 명사로 '일'이라고 쓰였습니다. that 뒤에 동사 provide가 온 걸 보니 that은 주격관계대명사로 쓰였습니다. 주어없이 동사가 바로 나왔기 때문에 불완전한 문장이라고 합니다.

 

4️⃣관계대명사 vs 관계부사

✔ 뒷문장을 확인! 문장 성분이 빠졌는지 체크!
✅ 불완전 → 관계대명사
✅ 완전 → 관계부사 or 전치사+관계대명사

 

❇️예문 비교

  • One possible reason is that many thousands of years ago humans lived in a world of dangerous predators where they had to have their wits about them at all times to avoid being killed. [2022_9월_고1]

-> 관계부사 where 뒤에 주어 they, 동사 had to have, 그리고 목적어 their wits가 나와서 3형식으로 완전한 문장입니다.

따라서 관계부사 where의 쓰임은 올바릅니다.

  • Old ideas are replaced when scientists find new information that they cannot explain. [2019_9월_고1]

-> that 뒤에 주어 they(=scientists)와 동사cannot explain 그리고 무엇을 설명하는지 목적어가 없기 때문에 불완전한 문장입니다. that은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잘 쓰였습니다.

 

5️⃣ 관계대명사 vs 대명사 차이

✔ 관계대명사는 접속사 역할 포함 → 문장 연결 가능
✔ 대명사는 접속사 따로 필요

 

❇️ 예문 비교

  • 대명사: They asked a lot of questions, but I couldn’t answer most of them. (접속사가 반드시 필요!)
  • 관계대명사: They asked a lot of questions, most of which I couldn’t answer. (접속사 없이 문장 연결 가능)

💡 “which”는 앞 문장을 받아 연결해주는 역할. all of, most of, some of 등 뒤에 자주 등장!

 

🧠 마무리 팁

  •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명사절 접속사 구별하는 문제는 문장의 완전, 불완전함과 선행사 존재 여부로 판단!
  • 무조건 외우기보다 패턴을 구조화해서 익히는 것이 포인트!
  • 20번 정도 반복해서 마주치면 저절로 이해하게 됨!
  • 절대 포기하지 마세요!

 

👉 다음 편에서는 ‘수일치 완전 정복’을 다룰 예정입니다. 구독하고 기다려주세요!
댓글로 가장 헷갈리는 문법 알려주시면, 다음 글에 반영해드릴게요 :)

 

🎁 수능 어법 Top7 정리 PDF를 받고 싶다면? [무료 다운로드 받기]

 

 

노베이스(노베) 영어 공부법 : 영어 기초 다지기

예비 고1이면서 영어 "노베이스(노베)" 상태라면, 기초부터 체계적으로 다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어는 특히 꾸준히 공부하면 확실히 실력이 늘어나는 과목이기 때문에 지금부터 천천히 시작하

wealthwisewhispers.com

 

 

"중고등 영어 노베이스 공부법 2탄 | 영어 기초부터 독해까지 완벽 가이드"

검색창이나 지식인에 "노베이스 영어 공부법"을 알기 위해 검색하고 있나요? 인강 수강 신청하고 절반이상 듣지 못하셨나요? 3개월만에 영어 노베 탈출? 이 가이드로 시작하세요! 그럼 영어 노

wealthwisewhispers.com

 

 

2025 3월 모의고사 핵심 어법 총정리 : 수능 영어 어법, 노베이스도 쉽게 따라하는 빈출 패턴 7가지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2025 수능 대비 3월 모의고사 어법 출제 경향에 대해 심층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수능 영어 어법 문제에서 좋은 점수를 얻기 위해서는 단골 어법 패턴을 철저히 분석

wealthwisewhispers.com